마을속특색프로그램
추진목적
- 마을·지역의 교육자원을 활용한 학교밖 마을 방과후 교육활동 활성화
- 마을·지역의 특색을 살린 프로그램 운영으로 마을학교의 전망 확보
- 마을·지역의 교육거버넌스 구축으로 지역단위 교육협력체제 비전 마련
사업개요
사업기간 | 매년 3월 ~ 12월 | 사업장소 | 청주 일원 |
---|---|---|---|
사 업 량 | 마을속특색프로그램 운영 비영리단체 및 기관 26개소 내외 | ||
운영방법 | 민간공모에 의한 선정 및 운영 | 총사업비 | 단체별차등지원 |
추진절차
-
공고 및 접수
1월~2월 중
-
사업설명회
1월 중
-
선정위원회구성
2월 중
-
신청단체(기관)
현장방문2월 중
-
심사 및 선정
2월 중
-
약정서 체결
3월 중
-
교부서류 제출
및 교부3월 중
-
사업수행
3월~12월
-
컨설팅 및
협의회분기별1회
-
실적보고
및 정산12월중
(※ 위 일정은 여건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음)
사업내용
대상 | 아동 및 학생 |
---|---|
사업방법 | 마을·지역 교육자원 연계 협력으로 특색프로그램 운영 |
프로그램(예시)
유형 | 단위사업(예시) | 사업내용 | |
---|---|---|---|
① | 마을중심 | 공동방과후 | 마을 교육자원을 활용한 정기적인 방과후 교육활동 운영 |
우리마을이해 | 마을 역사알기, 마을길 가꾸기, 마을 여행 등 운영 | ||
마을텃밭 | 마을의 자투리 땅 등을 활용한 텃밭 활동 및 생태학습 활동 | ||
학교 밖 교과 내용 체험 활동 | 교과 연계 교육활동 중 학교에서 체험이 어려운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학습 운영 | ||
마을예술활동 | 지역의 숨은 예술가 발굴, 예술대학 재학생, 지망학생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의 예술 활동 연계 | ||
지역사회 이해 교육 | 마을 역사알기, 마을길 가꾸기, 마을(지역) 교과서 쓰기 등 | ||
마을 연계 진로 교육 | 마을 시장 및 관공서, 회사, 자영업자 등과 연계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 운영 | ||
생태 환경 교육 | 마을의 자연이나 숲을 활용한 생태 환경 교육 | ||
마을인문학 교실 |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문학 과정 운영 | ||
아이들을 살리는 마을 | 학부모와 교사가 연대해 방과후 놀이활동, 책읽기, 학부모연수 등의 성장활동 진행 | ||
② | 주제중심(청주일원) | 국제이해, 놀이교육, 문화예술교육, 체육활동, 인성교육, 생태교육, 민주시민교육 등 지역 특색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| |
③ | 혼합형 | '마을중심형'과 '주제중심형' 혼합 운영 (마을중심형으로 운영하되 단위사업 1개는 주제중심형 운영 등) |
|
기타 | 위의 표에 열거된 사업은 '마을속특색프로그램'으로 운영 가능한 예시이며 이외에도 자율적인 다양한 사업 추진이 가능함 | ||
유의점 | - 학교 내 방과후 프로그램과 중복 지양(차별화) - 유형 ①, ②, ③ 중 1개 이상의 유형으로 하되 단위사업은 지역 및 단체 여건을 고려하여 운영 |
제외사업 내용
종류 | 제외사업내용 |
---|---|
일반강좌 모임 | 직업훈련, 어학, 자격증 취득 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|
단순복지 사업 | 일방적·수혜적 복지사업(상품권 구입, 교육교재 구입 등) |
특정정당 및 후보지지 | 특정 정당 및 선출직 후보의 지지·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 |
특정종교 교리전파 | 특정 종교와 관련된 활동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 |